분류

게인 인벨로프와 오토메이션 차이 Studio One

컨텐츠 정보

본문

가이드 영상을 보다가 게인인벨로프 소개영상도 있고 오토메이션을 사용하는 영상도 있던데 뭔가 비슷해보이더라구요 무슨차이가있나요??

관련자료

댓글 (4)
프로필이미지

백조자리님의 댓글

둘 사이에 가장 큰 차이는 신호의 흐름상 적용되는 시점의 차이입니다.
게인 엔벨로프는 인서트 전에 적용되고,
볼륨 오토메이션은 인서트 후에 적용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인서트에 컴프레서를 걸어놨다고 했을 때,
게인 엔벨로프는 컴프레서로 들어가기 전에 적용이 되고,
볼륨 엔벨로프는 컴프레서를 거쳐서 나온 신호에 적용이 됩니다.
프로필이미지

할수이씽님의 댓글의 댓글

아하 그렇군요! 그럼 초반 쌩목소리 자체에 수정을 주고싶을땐 게인 엔벨로프를 하면되고, 모든 믹싱이 마무리된쯤에 보컬소리만 전체적으로 맞추고싶으면 오토메이션을 하면되는거네요?!
프로필이미지

백조자리님의 댓글의 댓글

마지막 줄 댓글은 볼륨 엔벨로프가 아니라 볼륨 오토메이션입니다.

게인 엔벨로프를 쓰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보컬 녹음 같은 경우 볼륨 편차가 아주 큰 편입니다.
이런 소스에 컴프레서를 걸면 볼륨이 아주 큰 부분만 과격하게 컴프가 걸리게 됩니다.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게인 엔벨로프로 미리 볼륨 편차를 줄여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컴프레서가 고르고 일정하게 걸리게 되죠.

공지글

무료/할인



질문&답변


자유광장

뉴스



최근글

새댓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