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음반패설] <Check Your Head> : 재현불가능의 사운드 by Beastie Boys (1992) 자유광장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ePIyhliQDv_wXcSOvRSBjgUxIIc 


 ‘Beastie Boys’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던 것은, 엉뚱하게도 전혀 상관 없어 보이는 펑크 밴드 Sum 41의 ‘What we’re all about’ 뮤직비디오 영상을 통해서였다. 정확히는 영상이 공유된 글의 댓글을 통해서 였는데, 그 댓글에서 어떤 분이 이르기를 ‘이거 완전 비스티 보이즈인데?’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를 계기로 나는 Beastie Boys에 대해 더 알아보게 되었는데, 그들의 음악들 중 어딘가에서 들어본 듯한 음악이 많다는 것에 첫번째로 놀랐다. 이를테면 ‘Fight For Your Right’나 ‘Sabotage’ 같은 곡들 말이다.


 Beastie Boys에 대해 두번째로 놀랐던 점은 그들의 데뷔에 전설적인 프로듀서 릭 루빈이 깊이 관여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심지어 Beastie Boys의 성공이 프로듀서로서의 릭 루빈이 대성하게 된 시발점이었다는 것이 충격적이었다. 나는 이미 그 때까지 모은 여러 앨범들의 크레딧에서 프로듀서 릭 루빈의 이름을 마르고 닳도록 보아왔던 것이다. 그 중에는 그 유명한 Red Hot Chili Peppers의 앨범이나, System of a down의 앨범들도 있었다. 그 대단한 릭 루빈의 시작이 이들 비스트 보이즈와 함께였다니, 내가 지금까지 무언가 중요한 것을 놓쳐왔다고 느꼈다. 나는 뒤늦게 ‘Hello Nasty’, ‘ill communication’ 등 Beastie Boys의 앨범들을 하나 둘 사모았다.


 그리고 얼마간의 시간이 흘렀다. 그 사이 Beastie Boys라는 이름도 내 기억 속에서 잠시나마 희미해졌다. Beastie Boys의 음악은 분명히 특색있고 좋았지만, 안타깝게도 어린 내게는 너무 강한 향을 지닌 음악이었다. ‘그런가 보다’하고 몇 번 듣고 치운 그들의 앨범들은 내 CD 장에 꽂힌 채 꽤 오랫동안 나의 선택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던 내가 다시 Beastie Boys를 재발견하게 된 것은  JYP에서 막내로 일하던 시절 만난 D형님의 덕이었다.


 큰 키에 다소 마른 몸매, 그와 대비 되는 헐렁한 셔츠와 야구 모자 차림을 즐기던 그 형님은, 내가 여태껏 친해진 분들 중에서 가장 독특한 매력을 풍기는 사람이었다. 무엇보다도 코드가 맞았다. 그 때엔 정말이지 바쁘지 않은 날이 없었지만, 나와 형님은 시간이 될 때마다 녹음실 작은 방에서 이런저런 한담을 나눴다.

 D형님은 이력이 화려했다. 우선 그는 탐정소설 마니아였다. 그 중에서도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를 가장 좋아했는데, 좋아하는 정도가 일반인의 범주를 넘어서서, 각종 수집품을 모으고 정리하는 수준이었다. 심지어 아이의 이름도 셜록 홈즈 시리즈의 저자 아서 코난 도일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D형님은 언젠가 한국에 셜록 홈즈 박물관을 세우는 것이 꿈이라고 했다.


 또한 그는 발명가 이기도 했다. 가지고 있는 특허도 몇 개 있을 뿐더러, 발명에 관련한 꽤 유명한 블로그를 운영하기도 했다. 나는 머리 속으로 꿈만 꾸었던 여러가지 멋있는 아이디어들을 실제로 구현해오며 살아온 형님이었다. 싸구려 마이크의 부품을 고급품으로 바꾸어 테스트 해보았다던가하는 글들은 나도 언젠가 읽은 적이 있어서, ‘아, 그게 형님이셨군요!’하고 반가워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그가 가진 모든 재주 중에 D형님이 가장 좋아하는 일은 역시 음악을 듣고 만드는 일이었다. 특히 그는 한국 힙합 씬에서 내로라하는 유명 뮤지션들과 함께 음악을 해온 경력이 있었는데, 모든 과거를 뒤로 하고 가족을 위해 직장인의 삶(결국 음악 회사의 직장인이었지만)을 택한 것이었다. 나중에 한번은 형님이 만들었다는 데모 음원들을 들었는데, 노래 가사가 모두 탐정 소설에 관한 것이었다는 것에 한번 놀라고, 음악의 퀄리티에 두번 놀라고, 가이드 보컬로 참여한 가수들의 이름값에 세번 놀랐다.


 그러던 어느 날, D형님과의 대화에서 Beastie Boys라는 이름이 툭 튀어나왔다. 어떤 연유로 그들이 언급된 것이었는지 기억나지 않지만, 어쨌든 그 이름이 나오자마자 D형님은 ‘오!’하고 감탄사를 뱉었다.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그룹 중 하나라는 것이다. 내가 ‘그래요?’라고 뜨뜨미지근 하게 대답하자. 형님은 나를 똑바로 앉혀 놓고 Beastie Boys가 얼마나 위대한 지에 대한 열변을 토했다. ‘Beastie Boys는 음악성과, 시의성, 유머와 천재성을 두루 갖추면서도 간지까지 챙긴, 말도 안되게 멋진 그룹이니 반드시 들어야만 한다’가 그 날 이야기의 결론이었다. 자연스럽게 나는 D형님이 생각하는 비스티 보이즈 최고의 명반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졌다. 형님은 한참을 생각하더니 나에게 <Check Your Head>라는 앨범명을 적어주었다.


 그 주에 바로 홍대 앞 퍼플레코드에서 <Check Your Head>를 샀다. 셋이서 쭈그려 앉아찍은 프론트 커버부터 어딘지 모르게 멋스러웠다. D형님이 말한 ‘간지’라는게 이런 것인가를 잠시 사색하고는 포터블 플레이어에 CD를 집어넣었다. 지하철 구석자리에서 앉아 뉴욕 출신 힙합 트리오의 음악을 듣고 있자니 제법 운치가 났다. 덜컹거리는 열차의 소음이 첫 곡 <Jimmy James>에 잘 어우러졌고 나는 곧 음악 속에 빠져들었다.


 두번째 곡 <Funky Boss>에서야 나는 이 앨범의 실제로 악기를 연주하여 녹음한 힙합 앨범이란 사실에 깨달았다. 당시 퓨전 재즈에 입맛이 길들여져 있던 내게는 어딘가 심플하고 허술해 보이는 연주였는데, 의외로 그 단순명쾌한 연주가 맛깔났다. 오히려 이런 연주야 말로 아무나 할 수 있는 연주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운드는 또 어떠한가? 어렸을 때는 ‘향이 세다’라고 느꼈던 그 사운드가, 자세히 들어보니 보통 믹스가 아니었다. 어떻게 녹음되고 믹스되었을지 추측조차 되지 않았다. 보통의 대중 음악이라면 듣는 순간 어느 정도 ‘각’이 선다. 음악 애호가로서, 그리고 오디오 엔지니어로서의 촉인데, Beastie Boys의 음악에서는 ‘내가 이 음악을 도저히 재현해 낼 수 없겠다’라는 좌절감마저 느꼈다. 초심자 특유의 작디 작은 겁대가리를 가지고 있던 내가, 겸손이란 단어의 무게를 가장 크게 실감한 순간들이었다.


 그날 이후. 나는 다시 비스티 보이즈의 앨범들 꺼내 듣기 시작했다. 들으면 들을 수록 놀라운 음악들이었다.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앨범 속지를 뒤져서 ‘Mario Caldato Jr.’라는 이름을 찾아내었다. <Check Your Head>를 비롯한 Beastie Boys 앨범들에 프로듀서, 작곡가, 엔지니어로서 크레딧을 올린 Mario Caldato Jr.는 내가 가장 존경하는 엔지니어 중 한 명이 되었다.


 한편, <The Biz Vs. The Nuge>라는 곡을 처음 들었을 때는 실소를 터뜨렸다. D형님의 입버릇이었던 ‘비스티 보~이즈’라는 흥얼거림이, 실은 <The Biz Vs, The Nuge>의 인트로였던 것이다. 처음듣는 앨범에서 익숙한 콧노래의 멜로디가 흘러나오니, 절로 미소가 지어질 수 밖에.


 지금도 여전히 <The Biz Vs. The Nuge>에서 그 시절 D형님의 입버릇을 떠올린다. 뿐만 아니라 JYP에서 깨작거리던 옛날들을 기억하게 된다. 현재의 나를 있게 해준 수 많은 형님들과 함께 먹은 밥들, 함께 보낸 밤들이 생생하다. 가장 고생스러웠고 소중했던, 하지만 찰나처럼 지나갔던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앨범이라는 점에서, 나에게 <Check Your Head>는 특별한 앨범이라 하겠다.  


Duration  53:44

Release Date   April 21, 1992

Recording Location G-Son Studios, Atwater Village, CA


===


- Mario Caldato Jr.은 싱어송라이터 Jack Johnson의 작업에도 다수 참여한 바 있다. Beastie Boys의 음악에는 어느 정도 사파적인 느낌이 있는데 반해 Jack Johnson의 음악은 정파적인 무엇에 가까우니, 역시 하나를 잘하는 사람은 열을 잘하나보다.  

관련자료

댓글 (5)

공지글

질문&답변


자유광장



최근글

새댓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