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메인 메뉴
News
뉴-스
무료/할인
공연/공모전
주간 주요 뉴스
기획콘텐츠
스원포코 1컷
리뷰
리뷰
서포터즈
질문&답변
질문&답변
아카이브
PreSonus
Audio Scape
Melodyne
iZotope
Akai
ALLEN&HEATH
Apogee
Arturia
Audient
Behringer
Black Lion
CLOUD
DYNAUDIO
EV
FabFilter
Focusrite
Genelec
Kurzweil
K&M
M-Audio
Merging
Motu
Native Instrument
RME
Shure
Universal Audio
Waves
Yamaha
Zoom
미등록브랜드
광장
자유광장
가입인사
강좌
S1 프리미엄 강좌
일반강좌
자작곡
노래방
노래방
연주방
진짜초보
중고장터
인력사무소
팀원모집
구인구직
견적계산기
포인트몰
포인트몰
알림
SM58
전체 게시글
새로 등록된 게시물을 둘러보세요.
게시판그룹
그룹
전체그룹
About Us
광장
포럼
핫이슈
정보
강좌
라이브러리
News
중고장터
mixtape so
공지
아카이브
질문&답변
자작곡
구인구직
검색대상
전체 게시물
원글만
댓글만
검색어
필수
검색하기
전체
81
/ 1 페이지
전체게시물 그룹 목록
전체
포럼
광장
강좌
자작곡
News
중고장터
아카이브
공지
이전 그룹
다음 그룹
번호
제목
이름
날짜
게시판
번호
81
댓글
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면 정확하고 자세한 상황 설명은 필수 입니다.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기종, 마이크, 연결된 입력채널, 어떤 세팅으로 녹음을 했는지 등등이요. 일반적으로 실수하시는 상황으로 답변을 드려보면.. 1. 마이크가 연결된 채널을 녹음하는 채널의 입력으로 잡아야 합니다. 보통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1번입력 또는 2번입력일 겁니다. 2. 스피커는 끄고 녹음해야 합니다. 모니터링은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하고, 마이크로는 목소리만 들어가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헤드폰에서 입력이 실시간 모니터링이 되는 건 다이렉트 모니터링 기능이라고 해서 편리한 기능입니다. 이것과 비트/목소리가 함께 녹음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2-08
질문&답변
번호
80
댓글
그렇군요. 저도 궁금해서 마이크 제조사에 질문을 보냈었는데, 거기서도 impedance balanced 라는 명칭을 사용하더군요. 임피던스 밸런스드의 경우 저역이 감소한다는 부분은 저도 조금 더 찾아보겠습니다. (AC 커플링 회로가 들어간다면 이론적으로 롤오프가 발생한다는 것은 사실이긴 한데, 그 주파수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정보를 찾지 못했고, 저렴한 콘덴서 마이크의 주파수 그래프에서 롤오프가 별로 보이지 않는 마이크도 발견을 일부 해서 조금 더 찾아보려고요. ^^)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6
자유광장
번호
79
댓글
좋은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_^ 학교 졸업하고 너무 오랫 만에 회로도를 보니 감개무량 하면서도 해석이 안되는 걸 보니 돌머리가 된 것 같기도 하고 그렇네요. ㅎㅎㅎ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8
댓글
회로 이론에서는 AC coupling 이 맞는 말이라는 말씀이군요. 말씀하시는 DC coupled output 이라는 것이 AC coupling을 한 회로의 아웃풋이라는 말씀인가요? (말씀해 주신 마지막 링크에서도 텍스트에는 AC coupling이 있다고 기술이 되어 있네요) 일단, 말씀해주신 내용은 이해했습니다. 저역대 감소에 대해서도 이해했고요. 저역대 컷오프되는 주파수대역을 찾아봐야겠네요. 얼마나 감소하게 되는지 궁금해졌네요 ㅎㅎ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7
댓글
두 번째 글의 중간에도 이런 글이 있네요. ‘DC coupling’ does away with such capacitors, thus DC signals (including CV) are free to pass. DC 커플링은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DC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DC가 포함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뒤에서 DC 성분을 CV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로 보입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6
댓글
첫 번째 글만 우선 봤는데요. 처음 두 문장을 보니, 예전에 적어주신 내용과 다릅니다. In terms of analog circuitry, electronics that are DC–coupled have their components connected directly together without any coupling capacitors. As capacitors tend to remove certain frequencies, coupling the circuitry without capacitors in-line allows the full spectrum of sound frequencies to pass through unfettered. 이 이야기는 아날로그회로에서 DC-coupled 라는 것은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연결해서 내보내는 것을 의미한다고 써 있네요. 제가 적었던 내용이 맞는 것 같아요.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5
댓글
콘덴서가 더 잡음에 취약한 건 고음역대가 더 많이 들어오는 주파수 밸런스 특성에 기인한 차이는 확실히 있긴 합니다. 그런데, 그 차이가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것이 제 생각이고요. (물론 룸 리버브의 테일까지 생각하기 시작하면 콘덴서가 더 많이 녹음되는 건 맞다고 봅니다. 특히 고역대 울림이 사람의 귀에 더 잘 들리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그리고, 진짜 작은 소리 다이나믹 마이크의 유닛을 움직이지도 못할 정도의 사운드 레벨에서 콘덴서 마이크는 반응을 그래도 하는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동의합니다) 하지만, 룸 어쿠스틱이 잘 안된 곳에서 녹음하면 다이나믹보다 콘덴서가 더 많이 울린다는 것 역시 다이나믹을 더 가까이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 제 경험입니다. 같은 거리에서 사용하면 의외로 그 차이가 별로 없어요. 다이나믹이라 믿고 녹음했다가 왕왕 울려서 당황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ㅎㅎ (심지어 엄청 가까이에서 녹음했는데도요)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4
댓글
말씀하신대로, 다이나믹 마이크는 "가까이에서 녹음하고" 콘덴서 마이크는 "가까이에서 녹음하기가 불편하다" 라는 것을 전제하면 다이나믹 마이크가 현실적으로 잡음에 유리하다고 이야기할 수는 있겠습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홈레코딩 유저들이 녹음하고자 하는 것은 '스튜디오 스타일'의 녹음이고 그런 방식의 녹음을 하는데, 다이나믹 마이크를 핸드헬드로 입 앞에 바짝 붙여서 녹음을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좋은 결과물을 녹음할 수가 없습니다. 결국 못해도 10cm 이상의 거리에서 (보통은 15~20cm 정도 추천) 녹음을 하게 되고, 이렇게 전제하면, 콘덴서 마이크도 이 정도 거리에서 녹음이 가능해지는 경우가 되죠. 그런 관점에서 홈레코딩에서 컨덴서는 못쓸 것 이라는 것이 다시 생각해볼 문제라는 부분이고 앞의 게시글에서 다이나믹 마이크는 멀리 있는 소리를 걸러낸다 라는 취지의 글도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꽤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이 되어서 실험 결과도 올렸습니다. ㅎㅎ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3
댓글
재고 소진에 꽤 시간이 걸리나 보군요. 재고 털기 위한 할인으로 주워들었는데 말이죠. 저는 9만9천원 시절에 구입을 했었드랬죠. ㅎㅎ 잘만 다루면 정말 매력적인 마이크입니다. 처음엔 넘쳐나는 저역에 당황하지만 저역 콘트롤 하고, 결과물을 가지고 믹스를 해 보다 보면 의외로 존재감도 좋고, 고유의 매력이 많이 나타납니다. 물론 공부는 좀 필요합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리뷰
번호
72
[실험 결과] 콘덴서 마이크는 다이나믹 마이크에 비해 잡음에 취약할까?
댓글
(18)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5
자유광장
번호
71
댓글
저도 이 주제로 토론을 하면서 마이크의 출력방식에 대해서 모르던 부분도 일부 알게 되고 좋았네요.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70
댓글
말씀해주신 내용 덕분에 각 출력방식에 따른 차이를 읽어보게 되었네요. 특히 홈레코딩 위키 페이지에 적어주신 글 아주 잘 보았습니다. ^^ 감사합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69
댓글
액티브 버퍼 아웃 회로에 대해서는 모르던 부분이라 그것을 적용한 제품과 DC 커플링을 사용한 마이크들을 알 수 있으면 좋겠네요. 개인적으로 궁금해지는데요. ^^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68
댓글
소리의 거리에 따른 감쇄량이 가까운 곳의 소리, 먼 곳의 소리의 차이를 이야기할 때 나올 수 있는 이야기일 텐데요. 당연히 그 부분 알고 있고요. 문제는 가까이에서 작은 레벨로 발생하는 소리와 멀리에서 큰 레벨로 발생해서 수음 부위에서 같은 레벨이 되는 소리는 마이크 입장에서는 같은 레벨의 소리라는 것이죠. 그런 관점에서 거리는 상관 없다고 말씀드린 겁니다. 감도는 순전히 음파의 강약에 반응하는 정도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이건 단위만 봐도 알 수 있는데, 감도=전압/압력 의 단위를 가지고 있죠. 어떤 압력으로 수음판을 때렸을 때, 어떤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는가?일 뿐 입니다. (물론 아주 작은 레벨에서 반응성이 확 바뀌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말씀은 이미 적었습니다) 즉, 낮은 레벨의 전압을 만드는 다이나믹 마이크는 우리가 듣기 좋은 레벨로 소리를 키울 수 밖에 없고, 같은 레벨로 들을 때 콘덴서 마이크와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67
댓글
참고로 르윗의 영상을 보기 전 제가 직접 실험해서 얻은 결론입니다. 물론, 다이나믹 마이크가 더 작은 소리에 콘덴서에 비해서 덜 반응하는 소위 롤오프(주파수가 아닌 응답 정도)가 오는 시점이 더 높아서 콘덴서가 그런 부분에서 더 취약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의 레벨은 대부분의 홈레코딩 환경에서 문제 삼기 어려운 레벨입니다. (실험해보면 환경 잡음이 큰 차이가 안납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1
(current)
2
3
4
5
6
(last)
아이디
필수
비밀번호
필수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공지글
[EVENT]
스원포코 가입인사 이벤트(07.13)
댓글
2
[EVENT]
SM58 출시, 58주년 캠페인
댓글
10
[공지사항]
회원가입시 어려움이 있다면?!
무료/할인
[할인]
인터페이스와 믹서를 한 번에, PreSonus AR8c…
N
새글
[무료]
AIR Music에서 AIR Stutter 리드믹 FX…
N
새글
[무료]
IK Multimedia에서 Tape Echo 이펙트 …
N
새글
[무료]
Stagecraft Software에서 Overdriv…
N
새글
[무료]
IK Multimedia에서 Brad Paisley 시…
N
새글
H
인기글
[무료]
Moonwave FX의 Ripple LFO 이펙트 플러…
N
새글
H
인기글
[무료]
Anwida Soft에서 한정 기간 동안 Chorus …
N
새글
H
인기글
[무료]
LANDR에서 Synth X 및 RePitch Elem…
N
새글
H
인기글
[무료]
Universal Audio에서 $199달러 상당의 P…
N
새글
H
인기글
[무료]
Free download Multiband Filter…
N
새글
H
인기글
[무료]
Tuned Reverb 10,000 한정 라이선스 무료…
N
새글
H
인기글
[무료]
DamyFX에서 무료 기타 앰프 이펙트 플러그인 Mr …
N
새글
H
인기글
질문&답변
[Studio One]
메트로놈(클릭) 오프비트(더블템포) 트리플로 듣는 방법은 없겠죠??
[오디오인터페이스]
퀀텀 ES2 컴퓨터 연결 케이블
댓글
1
[Studio One]
피아노롤 퀀타이즈
[소프트웨어]
Re: 멜로다인이 업그레이드를 했는데여.. 업그레이드가 안되요
댓글
1
[소프트웨어]
멜로다인이 업그레이드를 했는데여.. 업그레이드가 안되요
댓글
2
자유광장
[자유광장]
SM58 58주년 발대식 ㅠㅠㅠ 왜 하필 금요일 오후 2시입니까 ㅠㅠㅠㅠ
댓글
6
[자유광장]
Studio One Pro 7.2.1 버전이 나왔네요
댓글
1
[근황토크]
SM58 58주년 에디션?!?!
댓글
4
[자유광장]
스원 오토펀치 매크로 공유합니다.
댓글
1
[유튜브광장]
이등병의 편지
댓글
2
뉴스
[ETC.]
The Crow Hill Company에서 ‘Seaso…
N
새글
[하드웨어]
Korg에서 새로운 디지털 피아노 B2+ 및 B2+SP…
N
새글
[Plug-In]
Acustica Audio에서 Mick Guzauski…
N
새글
[Plug-In]
KIT Plugins에서 NOIZ Hub 시리즈의 신제…
N
새글
[Plug-In]
D16 Group에서 Pulsatec 출시
N
새글
[ETC.]
MARS-AUDIO에서 클라우드 기반 멀티트랙 오디오 …
N
새글
[ETC.]
Fender가 아시아 내 입지 확장을 위해 Fender…
N
새글
[Plug-In]
Gooey에서 프리퀀시 시프터 플러그인 The Freq…
N
새글
[Plug-In]
Numerical Audio에서 iPad용 로우파이 이…
N
새글
[ETC.]
Waves Audio에서 AI 기반 샘플 매니저 COS…
N
새글
[Plug-In]
STL Tones에서 올인원 믹싱 플러그인 Contro…
N
새글
[Plug-In]
Audio Hertz에서 VHS Home Video F…
N
새글
최근글
[체험단]
슈어(Shure) MV7i 2채널 인터페이스 내장 USB 다이나믹 마이크
[Studio One]
메트로놈(클릭) 오프비트(더블템포) 트리플로 듣는 방법은 없겠죠??
[발라드]
이제서야
댓글
2
[오디오인터페이스]
퀀텀 ES2 컴퓨터 연결 케이블
댓글
1
[ETC.]
The Crow Hill Company에서 ‘Season Two’ 리브랜딩과 함께 새로워진 무료 샘플 라이브러리 VAULTS… 공개
[하드웨어]
Korg에서 새로운 디지털 피아노 B2+ 및 B2+SP 모델 발표
[Plug-In]
Acustica Audio에서 Mick Guzauski와 협업하여 MickE-Q 출시
[Plug-In]
KIT Plugins에서 NOIZ Hub 시리즈의 신제품 NOIZ One Vox 보컬 프로세싱 플러그인 출시
[Plug-In]
D16 Group에서 Pulsatec 출시
[자유광장]
SM58 58주년 발대식 ㅠㅠㅠ 왜 하필 금요일 오후 2시입니까 ㅠㅠㅠㅠ
댓글
6
새댓글
등록자
Frank
잘 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등록자
Jasmin
후후 너무 잘듣고 갑니다 감미로운 아침입니닷!!
등록자
Frank
역시 락에 최적화된 목소리십니다~
등록자
소닉블루
아 그랬었군요! c80 처음으로 써봤는데 특유의 느낌이 필요할때 종종 써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등록자
Frank
저도 후기 기대합니다~ !!
등록자
백조자리
C타입이 아니면 전력이 부족해서 정상 작동을 안 합니다. (제품 소개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음) 별도로 5V 2A 보조 전원을 연결해준다면 C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