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포터즈
  • 댓글

마이크
Shure SM4-K-KIT 리뷰

페이지 정보

댓글 0
  • 본문


    "삼아사운드, 스원포코 체험단의 일환으로 제품을 대여 받았고 체험단 활동을 통해 금전적, 물질적 이득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1743765328.7063kQFhuWcgDPKakaoTalk_Photo_2025-04-04-20-12-01 009.jpeg
    리뷰 개요 : 동일 디멘션을 가진 두 마이크의 메뉴얼상 특이점과 비교 녹음을 통한 사운드 체크

    리뷰 마이크 : Shure SM4-K-KIT (이하 SM4)
    가격 : 498,000원

    SM4의 대략적인 스펙
    Polar Pattern : Cardioid
    Frequency response : 20~20k
    Output impedance : 150
    Sensitivity : -38dBV/1PA
    Signal to noise ratio : 79dB



    1743765385.0476xKbhRpfVnEKakaoTalk_Photo_2025-04-04-20-11-58 004.jpeg


    비교 마이크 : Scarlett CM24 MKlll (이하 CM24)
    가격 : 66000원

    비교선정이유 : 저가형 마이크와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가진 50mm지름 컨덴서 마이크가 이것 밖에 없었습니다.

    CM24의 대략적인 스펙은 메뉴얼상으로
    Polar Pattern : unidiretional (cardio)
    Frequency response : 20 ~20k
    Output impedence : 200
    sensitivity : -36dB/1PA
    Signal to noise ratio : 74dB


    1743765417.4332sjJCGSroMuKakaoTalk_Photo_2025-04-04-20-12-01 008.jpeg



    두 스펙상 눈에 띄게 다른 점은 감도와 sn비입니다. sm4가 mkiii보다 감도가 2dB정도 낮고 SN비가 5dB높습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마이크에 94dBSPL 입력을 넣었을 경우 SM4는 -38dBV의 입력을 얻을 수 있고 CM24는 -36dB의 입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메뉴얼상 MKIII는 dB라고 밖에 표기가 되어있지 않아 어떤 기준의 dB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메뉴얼의 디테일도 저가형 마이크의 단점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그에 반해 SM4의 SN비는 MKIII의 SN비보다 5dB 높았습니다. 이는 녹음을 할 때 노이즈와 신호를 조절하는데에 큰 장점입니다.

    다음으로는 녹음을 하는데에 앞서 녹음시 유의사항입니다. 


    SM4는 목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2~15cm떨어져서 녹음을 하라고 명시 돼 있습니다.
    CM24는 기타 앰프에 대한 마이킹 방법만 명시되어있고 이외 녹음 방식에 대한 방법은 명시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이 또한 메뉴얼의 차이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같은 조건이어야하니 두 마이크 모두 7~8cm떨어진 지점에서 녹음 을 해보겠습니다.
    7~8cm는 딱 제 검지 길이와 맞았습니다.



    1743765484.8133xKoFmrAOMzKakaoTalk_Photo_2025-04-04-20-12-00 006.jpeg




    녹음 DAW 세팅 및 사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DAW : Pro tools 24bit, 48K
    Audio Interface : Focusrite Scarlett 2i2
    Monitor : Beyerdynamic Dt 900 Pro (Headphone)
    프리앰프 양은 음성이 -18dBFS에 도달하도록 설정했습니다.

    그렇다면 앞선 유의사항을 지켜서 “지금은 마이크 테스트 중입니다. 하나, 둘, 셋.”을 두번 녹음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SM4의 프론트는 Shure 상표가 적힌 곳입니다.

    !비교청취를 위해서는 헤드폰을 꼭 사용해주세요!

    녹음 후 들어보니 확연히 들리는 차이는
    첫번째로 팝 노이즈 입니다. CM24는 ‘둘’ 할 때에 툭 하는 소리가 두차례 모두 녹음 되었지만 SM4는 CM24에 비하면 팝 노이즈가 현저히 적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로는 선명도입니다. CM24는 중역대가 두꺼워 고음역대를 신경써서 들어야하는 반면, SM4는 CM24에 비해 샤하다, 밝다, 선명한 경향을 갖고 있습니다. 이 밝은 대역은 SM4의 주파수 특성 그래프를 확인해보면 8K부터 시작되는 고음 부스트 대역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다음 녹음은 같은 문장을 동봉된 팝필터를 착용하여 녹음해보겠습니다. 팝필터는 안쪽에는 거친 질감의 망이 있고 바깥쪽에는 매끄러운 망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1743765511.4768uZgkuNNDNBKakaoTalk_Photo_2025-04-04-20-11-57 003.jpeg
    1743765509.679qnvzWTQJCDKakaoTalk_Photo_2025-04-04-20-11-56 002.jpeg




    !비교청취를 위해서는 헤드폰을 꼭 사용해주세요!

    이 녹음을 하고 생각보다 큰 차이에 놀랐습니다. 팝필터가 팝노이즈만 제어해주는 것이 아니라  중저음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앞으로 팝필터를 사용한다면 팝 노이즈 제어 목적만이 아니라 음색에도 변화를 가져다주는 것을 유념하고 사용해야겠습니다.

    -리뷰를 마치며-


    기존에 가지고있던 CM24는 어렸을적 오디오인터페이스와 번들로 구매한 마이크여서 비교에 적합하진 않았지만 오히려 드라마틱한 차이점을 알려줘서 마이크에 왜 투자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비교가 됐던 것 같습니다. 모든 마이크는 녹음하려는 음원마다의 쓰임새가 있고 그 쓰임새에 맞게 사용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앞선 비교를 들어보셨다면 CM24는 중음역대가 너무 뭉쳐서 쓰임새가 다양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SM24는 메뉴얼에 쓰임새마다의 마이킹 방법도 적혀있을 뿐 더러 그 쓰임새에 어울리게 높은 SN비도 갖고 있었습니다. 홈레코딩이 발전하면서 1인 연주자가 아닌 1인 아티스트로 발돋움 하는 요즘 시대에 SM4를 선택한다면 다양한 음원을 선명하게 녹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첨부파일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달아보세요!

    공지글

    무료/할인



    질문&답변


    자유광장

    뉴스



    최근글

    새댓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