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메인 메뉴
News
뉴-스
무료/할인
공연/공모전
주간 주요 뉴스
기획콘텐츠
스원포코 1컷
리뷰
질문&답변
질문&답변
아카이브
PreSonus
Audio Scape
Melodyne
iZotope
Akai
ALLEN&HEATH
Apogee
Arturia
Audient
Behringer
Black Lion
CLOUD
DYNAUDIO
EV
FabFilter
Focusrite
Genelec
Kurzweil
K&M
M-Audio
Merging
Motu
Native Instrument
RME
Shure
Universal Audio
Waves
Yamaha
Zoom
미등록브랜드
광장
자유광장
가입인사
강좌
S1 프리미엄 강좌
일반강좌
자작곡
노래방
노래방
연주방
뮤직클래스
뮤직클래스
정기교육
진짜초보
중고장터
인력사무소
팀원모집
구인구직
견적계산기
포인트몰
포인트몰
알림
챌린지
새글
새로 등록된 게시물을 둘러보세요.
게시판그룹
그룹
전체그룹
About Us
광장
포럼
핫이슈
정보
강좌
라이브러리
News
중고장터
mixtape so
공지
아카이브
질문&답변
자작곡
구인구직
검색대상
전체 게시물
원글만
댓글만
검색어
필수
검색하기
전체
6,908
/ 316 페이지
전체게시물 그룹 목록
전체
포럼
현재 그룹
광장
강좌
자작곡
News
중고장터
아카이브
공지
이전 그룹
다음 그룹
번호
제목
이름
날짜
게시판
번호
2183
댓글
액티브 버퍼 아웃 회로에 대해서는 모르던 부분이라 그것을 적용한 제품과 DC 커플링을 사용한 마이크들을 알 수 있으면 좋겠네요. 개인적으로 궁금해지는데요. ^^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82
댓글
소리 들어보시고 맘에 드는거 쓰시면 되는 문제 아닐까 싶어요 ㅋㅋ 우리가 결국 이론적으로 이야기를 하더라도 (물론 두분의 논쟁이 관전자인 저희들 입장에선 모두 알찬 정보라는건 변치 않는 사실~!) 우리의 최종 목적지는 '음악을 만드는 것' 이니까요. 너무 포괄적인 이야기지만 우리가 이 Tool을 이용해서 최종적으로 하려는건 '음악'이기 때문에, 전기/물리적 특성을 알고 진행하면 더할나위 없이 좋지만, 또 한편으로는 결론적으로 마이크 제조사 또는 장비들이 그런한 설계를 통해서 '어떤 소리'를 표현해내는 가에 집중하는 면도 필요하지 않는가 싶어요. 아 ~~ 이 마이크는 이런 장르의 음악과 이런 보컬 or 악기에 쓰면 좋겠구나~~ 또는 아 이건 ...어따쓰지? ㅋㅋㅋㅋ 뭐 이런것 같아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찾는게 우리들의 몫인거 같아요. 아마 주니님이 말씀하고자 했던건 이거는 무조건 이거다~~라는 '단정'짓는 것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자는 취지
등록자
문고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9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81
댓글
혹시 스피커의 최소 청취거리와 도달 거리에 대한 글을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마이크 의 감도도 역으로 이와 비슷하게 작용합니다. 같은 물리 법칙이 적용되는 분야입니다. 방향만 반대구요. 대화가 잘 안되시는거 같아서 전 이만 퇴근합니다.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80
댓글
소리의 거리에 따른 감쇄량이 가까운 곳의 소리, 먼 곳의 소리의 차이를 이야기할 때 나올 수 있는 이야기일 텐데요. 당연히 그 부분 알고 있고요. 문제는 가까이에서 작은 레벨로 발생하는 소리와 멀리에서 큰 레벨로 발생해서 수음 부위에서 같은 레벨이 되는 소리는 마이크 입장에서는 같은 레벨의 소리라는 것이죠. 그런 관점에서 거리는 상관 없다고 말씀드린 겁니다. 감도는 순전히 음파의 강약에 반응하는 정도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이건 단위만 봐도 알 수 있는데, 감도=전압/압력 의 단위를 가지고 있죠. 어떤 압력으로 수음판을 때렸을 때, 어떤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는가?일 뿐 입니다. (물론 아주 작은 레벨에서 반응성이 확 바뀌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말씀은 이미 적었습니다) 즉, 낮은 레벨의 전압을 만드는 다이나믹 마이크는 우리가 듣기 좋은 레벨로 소리를 키울 수 밖에 없고, 같은 레벨로 들을 때 콘덴서 마이크와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9
댓글
일단 우리는 경험적으로도 많은 라이브 현장에서도 다이내믹 마이크 위주의 마이킹과, 감도가 낮은 컨덴서의 사용이 우선시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거의 전세계적으로 90% 이상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물론 10%가 맞을수있습니다 90%가 틀렸을수도 있구요. 지구가 둥근것 처럼요. 주니님이 한번 연구해서 결과를 보여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8
댓글
참고로 르윗의 영상을 보기 전 제가 직접 실험해서 얻은 결론입니다. 물론, 다이나믹 마이크가 더 작은 소리에 콘덴서에 비해서 덜 반응하는 소위 롤오프(주파수가 아닌 응답 정도)가 오는 시점이 더 높아서 콘덴서가 그런 부분에서 더 취약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의 레벨은 대부분의 홈레코딩 환경에서 문제 삼기 어려운 레벨입니다. (실험해보면 환경 잡음이 큰 차이가 안납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7
댓글
혹시 그러면 진동판의 크기와 , 진동판의 excursion (앞뒤 변위량) 과, 소리의 거리에 따른 감쇄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심 좋을듯합니다. 물리학은 이런 모든 물성치가 작용하기 떄문에 다르게 됩니다. 감도는 그것과 연관이 깊습니다. 감도와 레벨을 너무 단순하게만 보실 문제가 아닙니다. 빛도, 조명같은거 보시면, 넓게 퍼지면서 멀리 안가는 형태의 조명이 있고, 멀리 까지 뻣어나가지만 안퍼지는 조명도 있습니다. 그것과도 비슷하게 생각해보시면 좋을듯합니다.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6
댓글
가까운 소리와 먼 소리에 따라 수음되는 정도가 다르다고 말씀하시는 건가요? 마이크 입장에서는 소리가 가까에서 난 것인지 멀리서 난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단지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차이만 있을 뿐이지요. 그리고, 르윗의 실험은 게인을 조절해서 동일한 거리에서 나는 소리의 레벨을 맞추었을 때, 그보다 작은 소리가 얼마나 많은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실험입니다. 물론 그 작은 소리를 '스트리머'의 환경을 가정해서 키보드 타이핑 소리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 소리가 상대적으로 너무 크긴 하죠. 스튜디오 녹음 방식에서 고려하는 소리에 비하면요. 그런데, 직접 실험을 해보시면 금방 확인이 가능합니다. 동일한 거리에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를 세팅하고 (동일한 폴라패턴일 수록 정확한 실험이 가능합니다) 목소리 레벨이 거의 유사하게 들어가도록 게인을 잡은 상태에서, 배경 잡음을 녹음해서 들어보면 그 차이가 톤 밸런스의 차이를 제외하면 별로 없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5
댓글
TLM 은 DC 커플링 된 제품도 있지만 액티브 버퍼를 사용한 제품도 있습니다. 지금 약간 오해 하시는 부분이 모든 트랜스포머리스가 DC 커플링이라고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4
댓글
마이크들이 저역에서 자연스럽게 롤오프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트랜스포머를 쓴 마이크에서는 없는 것인가? 라는 관점에서 보면 다른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같은 회사의 마이크인 U87과 TLM 시리즈의 주파수 응답곡선을 보면, U87이 더 일찍 롤오프를 보여주고 있고, 20Hz에서는 롤오프되는 정도가 거의 동일합니다. 물론 U87이 톤을 조정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롤오프가 생기도록 회로를 설계했을지도 모를 일 이긴 하지만요.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3
댓글
얼룬드 제품은 액티브 버퍼 아웃인것으로 보이네요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2
댓글
좋은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DC 커플 아웃이라고 하신 것이 혹시 AC 커플링을 이야기하시는 것 아닐까요? AC커플링은 DC 성분을 제거하고, AC 성분만을 보내는 것이고, DC 커플링은 AC와 DC 성분을 모두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나오네요. (전자공학을 전공했지만, 워낙 오래돼서 이젠 용어가 기억이 잘 안납니다. ㅎㅎ) 그리고 커페시터의 특성 중 하나가 DC 성분을 걸러내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과연 20Hz의 저역을 통과시키지 못할 정도로 로우패스 필터의 형태로 작동을 할까요? 이건 제가 몰라서 질문을 ㅎㅎ 컨덴서 마이크인 얼룬드의 제품들은 제품 사이즈가 트랜스포머라고는 도저히 넣을 수 없을 정도의 사이즈인데, 주파수 응답 스펙이 7Hz부터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뭐 회로까지는 알 수 없지만요.
등록자
주니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8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1
댓글
슈어의 beta87이나, 젠하이저의 e965 등과 같은 라이브에서도 사용가능하게 나온 컨덴서 마이크들이 감도가 낮은 대표적인 컨덴서 마이크들이기도 합니다. 사이드 어드레스도 찾아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70
댓글
고견 감사합니다! 배우고 갑니다.
등록자
김선호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25
등록일
04-24
자유광장
번호
2169
댓글
컨덴서라고 해도 감도가 낮은 제품들이 있고 또 PAD 스위치를 이용해서 감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방구석 레코딩이라고 해도 감도가 낮은 컨덴서는 충분히 사용가능합니다.
등록자
홈레코딩위키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Lv.6
등록일
04-24
자유광장
(first)
(previous)
311
312
313
314
315
316
(current)
317
318
319
320
(next)
(last)
아이디
필수
비밀번호
필수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공지글
[공지사항]
🎵 [자작곡] 프로의 피드백, 내 음악 어때요? 👂
댓글
1
[공지사항]
스원포코 레벨 아이콘 업데이트.
댓글
4
[공지사항]
회원가입시 어려움이 있다면?!
무료/할인
[무료]
Streaky의 다이내믹 쉐이퍼 Body Builder…
N
새글
[무료]
Waves에서 블랙프라이데이 한정 Magma Stres…
N
새글
[무료]
Rhodes에서 V-Pan Vari-Pan 스테레오 패…
N
새글
[무료]
Moonwave FX의 단일 노브 디스토션 및 새추레이…
N
새글
[무료]
2B Played Music에서 2B Delayed C…
N
새글
H
인기글
[무료]
2B Played Music에서 QFX Wax 한시적 …
N
새글
H
인기글
[무료]
Karanyi Sounds에서 딜레이 이펙트 플러그 M…
N
새글
H
인기글
[무료]
Parallax Audio에서 Virtual Sound…
N
새글
H
인기글
[무료]
Martinic이 Lem Echo Music 한정 기간…
N
새글
H
인기글
[무료]
Safari Pedals에서 빈티지 스타일 모듈레이션 …
N
새글
H
인기글
[무료]
HoRNet의 멀티밴드 디스토션 플러그인 Graffio…
N
새글
H
인기글
[무료]
W. A. Production에서 Satyrus 한시적…
N
새글
H
인기글
질문&답변
[Studio One]
웨이브로 뽑고 다시 미디 고치는것이 안되요.
댓글
2
[Studio One]
스원추가설치 가상악기?
댓글
4
[Studio One]
스튜디오원 메인 daw로 쓰기 괜찮나요?
댓글
4
[소프트웨어]
혹시 th-u 2플러그인 쓰시는 분 계신가요?
댓글
5
[Studio One]
멜로다인이 네모로 보임
댓글
2
자유광장
[근황토크]
날씨가 추워지고있어요.
댓글
3
[자유광장]
U.ing(유잉) 단독콘서트 개최! 예매 링크 열렸어요💖
댓글
2
[자유광장]
안녕하세요. 펜더뮤직코리아 입니다.
댓글
12
[자유광장]
레벨은 어떻게 올리나요? (청정수에서 물이 변해가는 원리)
댓글
2
[자유광장]
선착순 무료 ( 조기 종료 )
댓글
4
뉴스
[Plug-In]
Solid State Logic에서 Acoustifie…
N
새글
[하드웨어]
SPL에서 스테레오 이미지 확장기 BiG [Studio…
N
새글
[Plug-In]
Produce RNB에서 R&B/Hip Hop 특화 신…
N
새글
[Plug-In]
MolecularBytes에서 폴리포닉 트랜지언트 프로…
N
새글
[ETC.]
FeelYourSound에서 미디 작곡 소프트웨어 Su…
N
새글
[Plug-In]
Lese에서 멀티레이어 스펙트럴 프로세싱 플러그인 Sm…
N
새글
[Plug-In]
ivoschi에서 MIDI 파일 브라우저 및 매니저 M…
N
새글
[Plug-In]
Diginoiz에서 드럼 레이어링 플러그인 LAYER …
N
새글
[하드웨어]
SOMA Laboratory에서 오디오 프로세싱 유닛 …
N
새글
[ETC.]
Steinberg에서 Cubase 15 출시 — AI …
N
새글
[하드웨어]
MOTU에서 Thunderbolt/AVB 오디오 인터페…
N
새글
[Plug-In]
Universal Audio에서 Ocean Way St…
N
새글
최근글
[마이크]
오디오테크니카 at4050 팝니다.
[랩·힙합]
기습발매 - 주석
[발라드]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
댓글
2
[발라드]
이문세님의 소녀를 부른 오혁님의 소녀를 부른 나
댓글
1
[발라드]
듣는 편지를 불러보았읍니다
댓글
1
[발라드]
또 들고온 고노메 운이조아찌 버스킹 라이브ver.
댓글
1
[근황토크]
날씨가 추워지고있어요.
댓글
3
[Plug-In]
Solid State Logic에서 Acoustifier 출시
[무료]
Streaky의 다이내믹 쉐이퍼 Body Builder 한시적 무료
[하드웨어]
SPL에서 스테레오 이미지 확장기 BiG [Studio] 정식 출시 – 튜브 회로 추가된 19인치 랙 버전
새댓글
등록자
강유
잘듣고갑니다!!! 밍꼬듣는밍쏭
등록자
유잉
꺆ㅎㅎㅎ 감사합니다💕 잘지내시죵??ㅎㅎ 넘 감사합니다💖
등록자
갈리아뚱
이건 최근 영상이신 것 같아요. 잘 들었습니다.^^
등록자
갈리아뚱
이번 노래도 잘 듣고 갑니다. 저도 낮잠 자고 싶어요~ㅎㅎ
등록자
갈리아뚱
동대문 버스킹에서 여러 노래를 부르셨군요. 이번 노래도 잘 들었습니다.^^
등록자
갈리아뚱
잘 들었습니다.^^
알림
0